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43)
fetch API란? Fetch API는 HTTP 통신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이다. js에서 서버와 통신을 하기 위해 1. jquery를 이용하여 ajax() 함수 호출을 통해 사용하거나 2. XMLHttpRequest 객체를 정의하여 사용 이 두 가지 방법을 사용했을 것이다. 보통은 1번을 많이 사용했을텐데, jquery파일을 반드시 정의해야 사용이 가능했다. 하지만 Fetch API를 알고 나서 jquery를 써야 할 필요성이 사라졌다.' fetch('URL') .then((res) => { return res.json(); }) .then((data)=>{ return data; }); js의 일부 기능은 비동기로 동작하는 게 많다. Fetch API도 비동기로 동작하여 결과를 받아오는 시점과 출력하는 시점이 다르다. 비..
route53을 이용하여 도메인 연결하기 https://forfull.tistory.com/15?category=899125 freenom을 이용하여 도메인 등록을 해보자. freenom 해외에서 운영하고 있는 도메인 등록 서비스 업체이다. 본사는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 있다. 사용하기 전에 로그인을 하는 게 좋다. (google or facebook) 본인이 사용하고자 하는 도메인명을 forfull.tistory.com 여기서 도메인 등록을 하였을 것이다. route53 > 호스팅 영역 > 새 호스팅 영역 생성 도메인 이름 : freenom에서 등록한 도메인 사용 생성하면 위 화면과 같이 나온다. 그중 NS 유형에 있는 값들을 모두 메모장에 복사해놓는다. (freenom에서 설정해야 함, 후술) 호스팅 영역 > 레코드 생성 값 : ec2 가상머..
IAM을 이용하여 계정에 사용자 추가하기 IAM (Identity and Access Management) 직역하면 신원 접근 관리인데, 인가된 대상의 권한을 제어한다고 보면 된다. IAM이 왜 필요할까? 예로, 5명(A, B, C, D, E)을 한 팀으로 구성하여 클라우드 협업을 한다고 가정해보자. 이 5명은 하나의 아이디를 공유하여 사용하기로 했으며, A가 직접 EC2 가상머신과 Route53, Domain service로 도메인을 연결했으며, 빠른 배포를 계획하고 있었다. 배포 준비를 다 마치고 B가 마지막 테스트를 위해 점검 중이었는데, 접속 오류가 발생했다. 웹페이지를 찾을 수 없다는 오류가 계속 발생하여 원인을 살펴보던중 도메인 설정 값이 바뀐 것을 확인했다. A에게 도메인 값을 물어봤으나, 자기는 바꾼 적이 없었다고 한다. 알고보니..
freenom을 이용하여 도메인 등록을 해보자. freenom 해외에서 운영하고 있는 도메인 등록 서비스 업체이다. 본사는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 있다. 사용하기 전에 로그인을 하는 게 좋다. (google or facebook) 로그인을 하고 Services > Register a New Domain 클릭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올 것이다. 본인이 사용하고자 하는 도메인명을 입력하고 Check Availability를 누르면 사용여부를 알려준다. 사용가능하면 저렇게 사용가능한 목록들이 나옴. 옆의 Get it now!를 눌러보면 다음 페이지로 이동한다. 만약 Not available이 뜬다면 1차 도메인을 붙여서 검색해보면 된다. 옆의 checkout을 클릭 (해외 서비스라 그런지 로딩 시간이 좀 있음) Period탭을 눌러 12month @ FREE로 ..
aws ec2 가상머신 만들기 2023년 8월 기준으로 aws의 UI가 변경됐습니다. 이미지로 올려 놓은 것들을 모두 변경할 예정입니다. 개요 ec2는 컴퓨터 자원. 즉, '컴퓨터'다. 우리가 쓰는 컴퓨터는 물리장치인 하드웨어가 있어야 하고, 운영체제 소프트웨어를 설치해야 이용할 수 있었다. 그러나, 클라우드 환경에서 제공해주는 가상머신은 이미 기본 환경이 설정된 컴퓨터 자원을 제공해준다. 최근 클라우드 서비스가 확대되면서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해주고 있다. AWS에 t3 micro가 추가되면서 1년 무료로 사용가능한 범위의 폭이 아주 조금씩 넓어지고 있다. 동시에, window 버전의 무료 가상머신을 제공해주고 있다. EC2 인스턴스를 생성하여 직접 가상머신에 접속해보는 실습을 해보겠다. 운영체제는 Ubuntu를 사용한다. 여기 나와..
pm2 무한 재실행 문제 (pm2 infinite restart) 문제의 파일이다. 옵션 중 watch라는 옵션은 디렉터리 내 변경사항이 생겼을 경우 해당 변경사항을 감지하여 서버를 재시작한다. 그런데 어떤 파일이건 내용을 변경하고 저장을하면 끊임없이 재시작하는 문제점이 발생. 처음에는 log 폴더 내 로그 파일이 매 요청마다 로그를 남기니까 이게 문제인가 싶었음. 해당 문제를 개발자 단톡방에 질문을 해보니 pm2 start ecosystem.config.js --no-daemon 명령어를 이용하여 시작해보라고 한다. 로그를 확인해보니까 서버 폴더 내 .git 폴더도 감지하고 있는것이 확인됨. (저 녀석이 원인이다.) ignore_watch 옵션을 통해 .git 폴더 추가 이제 한 번만 실행되고 끝난다. 원인은 .git 폴더의 변경사항을 감지하고 있어서 이전에 올려뒀던..
ListView 사용법 1. ListView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ListView를 랜더링하기 위한 xml 파일이 필요하다. 2. 리스트뷰를 쓰기 위한 Adapter Adapter는 BaseAdapter를 상속받아서 구현해야 한다. 원형은 다음과 같다. public class MyAdapter extends BaseAdapter{ @Override public int getCount() { return 0; } @Override public Object getItem(int position) { return null; } @Override public long getItemId(int position) { return 0; } @Override public View getView(int position, View convert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