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ws

aws ec2 가상머신 만들기

2023년 8월 기준으로 aws의 UI가 변경됐습니다.

이미지로 올려 놓은 것들을 모두 변경할 예정입니다.

 

 

 

 

 

 

 

개요

 

ec2는 컴퓨터 자원. 즉, '컴퓨터'다.

 

우리가 쓰는 컴퓨터는 물리장치인 하드웨어가 있어야 하고,

운영체제 소프트웨어를 설치해야 이용할 수 있었다.

 

 

그러나, 클라우드 환경에서 제공해주는 가상머신은 이미 기본 환경이 설정된 컴퓨터 자원을 제공해준다.

 

 

 

최근 클라우드 서비스가 확대되면서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해주고 있다.

 

 

AWS에 t3 micro가 추가되면서 1년 무료로 사용가능한 범위의 폭이 아주 조금씩 넓어지고 있다.

 

동시에, window 버전의 무료 가상머신을 제공해주고 있다.

 

 

 

EC2 인스턴스를 생성하여 직접 가상머신에 접속해보는 실습을 해보겠다.

운영체제는 Ubuntu를 사용한다.

 

 

 

 

 

 

 

 

여기 나와 있는 것 그대로 따라하면 된다.

 

 

가상머신 생성부터 접속까지 막힘 없이 진행되니 걱정 마라.

 

 

 

 

 

 

 

 

 

 

 

 

 

인스턴스 시작

 

이름은 자유롭게 입력한다.

영어 표기를 권장한다. 

 

아직 한글 지원이 잘 안 돼 있고,

클라우드 서비스가 한글을 제대로 못 읽는 이슈가 있는 듯 하다.

 

 

 

 

 

 

 

OS 이미지 선택

 

 

Ubuntu로 체크한다.

 

 

 

2023년 8월 기준, 22.04 LTS, 20.04 LTS 두 버전을 지원해준다.

 

AMI는 프리 티어 사용 가능한 항목 중, 아무거나 선택한다.

 

 

 

 

아키텍처는 64비트(x86)을 선택한다.

ARM도 있으나, 프리 티어가 없으니, x86을 선택한다.

 

 

 

 

 

 

인스턴스 유형

 

기본적으로 프리 티어 사용 가능이라 체크가 된다.

 

1년 간, 가상머신 1대는 무료 제공이므로,  시간당 과금은 신경 쓸 필요 없다.

 

 

 

t3라 찍힌다면 리전이 유럽으로 설정 돼 있을 확률이 높다.

 

t2라 찍힌다면 리전이 미국으로 설정 돼 있거나 한국일 확률이 높다.

 

 

참고. ec2 프리 티어는 한국 리전으로 지원해주지 않는다.

 

 

 

 

 

키 페어 생성

 

 

인스턴스에 접근할 키 페어 파일을 설정한다.

 

 

처음 시작한다면, 키 페어 파일은 없을 것이다.

 

 

때문에, 우 측 '새 키 페어 생성'을 눌러 키 페어 파일을 새로 만든다.

 

 

 

 

키 페어 파일은 영어만 입력 가능하다.

 

설명 아래에 보면

이름에는 최대 255개의 ASCII 문자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앞 또는 뒤에 공백을 포함할 수 없습니다.

 

아스키 코드만 인식한다. (영어는 아스키코드, 유니코드 둘 다 지원한다.)

 

한글은 유니코드 기반이라서 인식 불가능하다.

 

그러니 키 파일 이름은 영어로만 입력하자.

 

 

 

 

생성 시, 즉시 파일이 다운로드 된다.

이 파일은 안전한 곳에 보관하도록 하자.

 

 

 

 

 

네트워크 설정

 

 

VPC는 기본값으로 잡혀 있다.

 

별도 설정을 하지 않는 이상, VPC는 하나 밖에 없으므로 그대로 사용하면 된다.

 

 

 

 

서브넷 역시 가용 영역에이 고정 돼 있다.

새 서브넷을 생성할 수 있으나, 프리 티어 범위를 벗어날 수 있다.

 

 

그러니, 기본적으로 제공해주는 서브넷을 사용하도록 하자.

 

 

 

방화벽은 새 보안 그룹 생성에 체크한다.

 

 

 

 

 

 

 

보안그룹 설정

보안 그룹 이름은 자유롭게 적는다.

설명도 자유롭게 입력한다.

 

입력이 귀찮으면 기본으로 제공해주던 것 그대로 사용해도 상관없다.

 

 

 

다음은 인바운드 규칙이다.

이 역시 건드리지 말고 그대로 생성하자.

 

 

 

 

 

 

스토리지 설정

주의 사항에 이렇게 나와 있다.

 

프리 티어를 사용할 수 있는 고객은 최대 30GB의 EBS 범용(SSD)또는 마그네틱 스토리지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말은, 프리티어를 사용하려면 스토리지 크기는 30GB,  범용(SSD) 또는 표준 스토리지를 사용해야 한다.

 

볼륨 유형은 범용 SSD gp2로 잡혀 있다.

 

 

 

 

별도로 건드릴 건 없으니 그대로 넘어 간다.

 

 

 

 

 

고급 세부 정보

 

세부 정보에서 별도로 건드릴 건 없으니, 그대로 넘어 간다.

 

 

 

 

 

인스턴스 생성

지금까지 설정했던 정보를 다시 확인해보자.

 

문제 없으면 인스턴스 시작을 눌러 생성한다.

 

 

 

 

 

 

성공적으로 인스턴스가 생성 됐다.

 

우측 하단의 모든 인스턴스 보기를 눌러 제대로 생성됐는가 확인해보자.

 

 

 

 

 

 

 

 

성공적으로 생성됐다면 인스턴스 상태가 초기화 중 > 파일 검사 중 > 실행 중 순으로 표기될 것이다.

 

아직 초기화 단계에 있다면 1~2분 가량 기다리면 되니까 크게 걱정할 필요 없다.

 

 

 

 

 

 

 

정리

aws의 ec2 가상머신을 만들어봤다.

 

만드는 과정은 생각보다 어렵지 않으니, 순차적으로 여러 번 진행하다보면 어떻게 생성해야 되는지 감이 올 것이다.

 

 

그러니, 겁 먹지 말고 여러 번 시도해보자.

 

 

 

 

 

 

 

 

 

접속하기

 

 

가상머신에 접속하는 방법은 아래 글을 따로 기재해놨다.

 

https://forfull.tistory.com/entry/%EC%83%9D%EC%84%B1%ED%95%9C-ec2-%EA%B0%80%EC%83%81%EB%A8%B8%EC%8B%A0%EC%97%90-%EC%A0%91%EC%86%8D%ED%95%98%EA%B8%B0

 

생성한 ec2 가상머신에 접속하기

우리가 만든 가상머신에 접근을 못하면 무슨 의미가 있는가? 가상머신을 만들었으니 접근해볼 차례다. 까다로운 보안 처리 .pem 파일은 열쇠 같은 역할을 한다. 우리가 집에 들어가려면 도어락

forfull.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