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설정
Termux 소개글을 읽고왔다면 계속 이 글을 보고 있을 텐데,
Termux 내 설정해야 될 것들이 몇 가지 있다.
1. 저장공간 허용하기
termux-setup-storage -y
먼저 저장공간에 접근하는 것을 허용해준다.
터미널 내 패키지를 내려받거나 접근할 때 필요하다.
2. 저장소 설치하기
pkg install root-repo x11-repo -y
pkg upgrade
pkg upgrade 진행 중, 무언가 선택하는 게 나온다.
"keep your currently install version" 이라는 항목이 있을 것이다.
해당 항목의 단축키를 입력하면 된다.
아마 단축키가 n이었던 것 같다.
3. openssh, net-tools 설치
pkg install -y openssh
pkg install -y net-tools
openssh는 외부접속에 필요하다.
net-tools는 ifconfig로 아이피 정보를 확인할 때 필요하다.
한 가지 알아둬야 할 게,
Termux ssh 포트는 8022번이다.
ssh 설정하기
pem이나 ppk 파일 쓸 필요 없다.
어짜피 로컬환경에서 접속할 거면 같은 WIFI 내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니 ID PW로 접속할 거다.
whoami
# u0_a231
사용자명을 확인하려면 위 명령어로 확인한다.
설치 후, 최초실행할때마다 사용자명이 항상 다르다.
passwd
이후 사용자 패스워드를 설정한다.
sshd 실행하기
sshd
위 명령어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ssh가 실행되면서 외부 접속이 가능해진다.
휴대폰 IP는 어떻게 확인합니까?
#window cmd
ipconfig
window 11 기준 ipconfig를 통해 와이파이에 연결된 공기계를 확인할 수 있다.
아마 iptime이라면 192.168. 형태일 것이고
통신사 공유기는 통신사공유기만의 고유 IP 구조를 따른다.
외부 접속하기
ssh username@ip -p 8022
만약 접속이 안된다면 포트포워딩을 해야 할 수 있다.
'개인서버만들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Termux에 QEMU 설치하고 OS 띄우기 (4) | 2024.12.22 |
---|---|
Termux에 대해 (0) | 2024.1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