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우 중요하면서도 매우 간단한 작업이다.
1. 서버 접속 정보 설정하기
가상머신을 생성하고 어느 지역에서든 SSH로 접속할 수 있게 한다면 그건 골치아픈 일이다. 왜냐하면 가상머신과 연결되는 SSH 파일과 비밀번호만 있으면 언제 어디서나 접근이 가능하다.
그렇기 때문에 특정 IP 에서만 접근을 할 수 있게 설정해야 한다.
또한 HTTP나 HTTPS 포트가 잡혀 있는가도 확인해봐야 한다.
2. root 계정 설정하기
다음 명령어를 입력하여 root 계정의 비밀번호를 설정한다.
sudo passwd root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된다. cmd 상에서 비밀번호 입력은 보안 떄문에 입력 정보가 나타나지 않게 설정해놓은 듯 하다.
비밀번호를 설정하고 해당 계정으로 접속하여 제대로 설정됐는가 확인한다.
su root
3. 사용자 생성
ubuntu os로 가상머신을 만든다면 기본적인 사용자명은 ubuntu로 설정된다.
이는 가상머신이나 가상환경을 생성할 때 기본 사용자명을 변경할 수 있다. (변경이 안되는 경우도 있다.)
adduser {userName}
비밀번호를 설정하라고 물을 텐데, 비밀번호는 반드시 설정해야 한다.
나머지 입력정보는 모두 엔터로 스킵하면 되고, 기입하고 싶으면 기입 해도 상관없다.
4. apt-get update
패키지 매니저의 경우 낮은 버전으로 잡혀 있는 경우가 많다. 이 낮은 버전이 좀 심각하게 낮은 버전으로 잡히는 경우가 있어서 update를 해줘야 한다.
sudo apt-get update
'ubuntu'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venv clone & execute (0) | 2024.04.17 |
---|---|
ubuntu 가상머신에 apache2 설치하기 (0) | 2022.01.15 |
ubuntu 가상머신에 node.js 설치하기 (0) | 2022.01.08 |